채권멀티팩터
채권의 수익/위험의 원천 개념 변화에 따른 발전된 분석 방법론
기존 : 섹터/만기의 수익/위험을 분석하는 방식 → 금리구조의 변화, 등급별 Spread의 변화에 초점을 두고 분석
Key Rate Duration 활용
금리의 평행이동 뿐 아니라 장단기 Spread의 변동, 곡률 및 특정 구간의 변동 등 모든 금리구조의 움직임에 따른 가격변화 측정 가능
다양한 포트폴리오 분석에 일관성을 부여
- 각 종목별 분해결과를 합산하는 Bottom Up방식으로 분석
- 다양한 포트폴리오 분석에 일관성을 부여
채권지수와 포트폴리오의 간편한 비교
- 채권지수도 종목별 합산을 통해 하나의 채권 종목과 같이 해석 가능
- 포트폴리오와 지수간의 비교 간편화 실현
활용
종목 및 포트폴리오의 Style 분석
- 포트폴리오와 채권지수간 Factor Exposure를 비교
- 운용 스타일의 차이 확인 기능
포트폴리오 위험관리
- Factor별 기여도(Factor Return)의 변동성을 계산
- 채권지수 대비 포트폴리오의 초과수익 변동성 예상 (Ex-ante Risk)
- 초과수익에 대한 예상 분포로 포트폴리오 성과 위험 관리
- 초과수익의 변동성을 Factor별로 분해, 향후 위험의 원천을 분석함으로써 사전위험 관리
포트폴리오 성과평가
- 운용기간 중의 수익을 각 Factor별로 분해함으로써 성과의 원천 분석
- 기존 성과평가
- 채권/만기구분이 주된 분석 구조
- 실제 운용 의사결정 과정(Curve Betting)과 괴리 존재
- 수익에 영향을 주는 각 요인에 대한 상세 성과분해를 통해 실제 운용과 성과분석간 실질적 비교 가능
Reporting 및 최적화 포트폴리오 구성
- Factor를 기반으로 스타일, 성과, 위험의 전 과정을 일관성 있게 분석
- 객관적이며 합리적인 채권운용에 대한 보고서의 작성 가능
- Front Office에서 실제 운용 의사결정에 따라 목표 Factor를 강화하거나 제약하는 최적화된 포트폴리오 구성 및 적용 가능